이춘택병원
골절
LEE CHUN TEK HOSPITAL
[골절]
골절
01골절이란?
외부의 힘에 의해 뼈나 골단판,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하게,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골절선(횡형, 사선형, 나선형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한 개의 골절선에 의해 두 개의 골절편이 생기는 경우를 단순 골절, 두 개 이상의 골절선에 의해 세 개 이상의 골절편이 생기는 경우를 분쇄 골절이라고 합니다. 또, 골절된 뼈가 피부 밖으로 튀어나온 경우에는 개방성 골절이라고 합니다. 또, 일반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 외에도, 뼈에 침투한 골 종양 및 골수염 등으로 인한 병적 골절, 반복적인 손상 누적에 의한 피로 골절 등이 있습니다.
단순 방사선 검사를 통해 골절의 일차적 진단이 가능하지만, 골절의 양상을 보다 정확하게 관찰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 CT 검사가 활용되며, 주변 연부 조직이나 장기의 손상을 관찰하기 위해 MRI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골다공증이 오래되거나 심한 경우 특이한 외상 없이 골절이 발생하거나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발견되지 않는 경우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02골절 발생원인
주로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이후 발생합니다. 교통사고, 타박상, 낙상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골다공증이나 종양, 감염 등으로 인해 뼈가 약해진 상태에서는 비교적 약한 힘에 의해서도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03골절 증상

  • 골절 부위 주변으로 통증과 압통 발생
  • 움직임 있을 때 통증 심해짐
  • 골절 부위 체액 증가, 출혈로 인해 부종과 종창 발생
  • 신경 손상 있을 경우 감각 이상과 저린 느낌
04골절 비수술적 치료
응급치료 후 부목 고정 등을 통해 추가적인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관절의 경우 외부 고정이 힘들어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요합니다.

- 도수정복 : 어긋나 있는 뼈를 맞춥니다.
- 고정치료 : 석고 붕대, 보조기 등을 이용해 골절 부위를 고정합니다.
05골절 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로 고정할 수 없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혈관이나 신경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응급 수술을 요합니다.
골절된 조각을 맞추고 고정을 시행하는데 골절 부위 절개 여부에 따라 개방 정복, 폐쇄 정복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후에는 골 유합을 위해 석고 붕대, 보조기 등을 이용해 골절 부위를 고정, 보호합니다.
또, 유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근력 강화 및 운동성 회복을 위해 적절한 재활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고관절 골절에 시행한 고정술
골절 골절
온라인예약 의료진소개
QUICKMENU
  • 대표전화
    1588-2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