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적 관절 내시경 수술
수신체 검사 및 방사선 검사로도 진단을 내리기 어려운 경우에 시행되며, 관절경에 의한 확진율은 99%까지 가능하다.
치료를 위한 관절경 수술
퇴행성 관절염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각종 관절염, 관절 외상 특히 스포츠로 인한 관절 및 인대 손상, 관절내의 유리체 등 관절의 이상이 있을 때에 그 대상이 된다.
관절경 수술 방법
관절경 수술 장비
관절경의 시술범위
위무릎, 어깨, 팔꿈치, 발목, 엉덩이, 손목
관절경의 수술의 특징
- 관절경수술은 특수촬영(CT, MRI)으로도 파악되지 않는 병변까지 환부를 절개 하지 않아 출혈이 적고 상처가 거의 없음
- 소형 카메라가 달린 관절경을 관절관 내에 삽입하여 TV모니터를 통해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동시에 수술가능
- 수술회복이 빠르고 동통이 없음
- 수술 후 합병증 최소화 및 치료비 절감 등
관절경 수술의 적용범위
관절경수술의 적용범위
적용범위 |
설명 |
무릎 |
골절시 부목고정하여 골절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연부 조직의 손상을 막고 개방성 골절로 되는 것을 방지하며 통증을 감소시키고 지방색전증과 shock을 감소시킨다. |
어깨관절 |
재발성 견관절 탈구, 극상건(회전근개)파열, 견봉하충돌 증후군, 관절순 병변, 류마티스 관절염, 견봉-쇄골 관절염, 유착성 관절낭염, 퇴행성 관절염, 석회화 건염, 관절내 유리체
|
발목관절 |
관절내 유리체, 골연골 골절, 박리성 연골염, 류마티스 관절염, 외상성 관절염, 전방충돌 증후군, 관절내 골절, 연골손상 |
팔꿈치 관절 |
관절강직, 관절내 유리체, 골연골 골절, 외상성 관절염,류마티스 관절염, 관절내 골절 |